1980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
해 1977년 1978년 1979년 - 1980년 - 1981년 1982년 1983년 |
연대 1960년대 1970년대 - 1980년대 - 1990년대 2000년대 |
세기 18세기 19세기 - 20세기 - 21세기 22세기 |
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.
목차 |
[편집] 사건
- 3월 24일 - 엘살바도르 대주교 오스카 로메로 암살당함.
- 4월 21일 - 경부선 부산 덕포동 화물열차 전복사고 황산조차 쏟아져 발생
- 5월 17일 -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, 집권 시나리오에 따라 내각에 비상계엄 전국확대 강요. 대한민국 전국비상계엄선포 전국대학 휴교령
- 5월 18일 - 광주민주화운동.전남대 공수부대와 첫 충돌 카톨릭센터 전남대 집결 데모 경찰과 대치 최루탄발사하며 해산
- 5월 20일 - 신군부의 강압적인 계엄 확대 조치을 반대하면서 국무총리 신현확 사임
- 5월 24일 -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장 김재규 사형당하였다
- 5월 30일 -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설치
- 7월 30일 - 대한민국, 7·30 교육 개혁 조치를 발표하고 과외금지조치를 시행하였다.
- 8월 1일 - 대한민국,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(약칭 "국보위"). 신원기록 일제정리와 연좌제 폐지 결정 발표
- 8월 4일 - 삼청계획 발표.
- 8월 13일 -대한민국, 김영삼 신민당 총재, 정계은퇴 발표
- 8월 14일 - 김대중 내란음모사건, 김대중 등 재야인사 24명의 내란음모혐의에 대한 첫 재판 열림.
- 8월 16일 - 최규하 대통령, 대규모 학생 소요와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10대 대통령에서 하야.
- 8월 19일 - 대한민국, 국가보위비상대책회의, 사학 쇄신책 발표.
- 8월 21일 - 대한민국 국군,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전두환을 국가원수로 추대키로 결의
- 8월 22일 - 대한민국, 신군부 실권자 전두환, 대장으로 전역
- 8월 25일 - 짐바브웨, 국제연합 가입
- 8월 27일 - 전두환이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다.
- 8월 28일 - 대한민국, 계엄사, 5월 17일 내렸던 전국 대학 휴교령을 107일만에 해제
- 8월 31일 - 폴란드 자유노조 `연대'(Solidarity), 레흐 바웬사 주도로 설립
- 9월 1일 - 전두환, 대한민국의 제 11대 대통령으로 취임.
- 9월 2일 - 전두환 대통령, 남덕우(南悳祐) 총리를 중심으로 한 새 내각 구성
- 9월 4일 -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, 휴전선 11개 지역에서 대남비방방송 재개
- 9월 16일 -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, 국제 연합 가입
- 9월 17일 - 대한민국 제5공화국: 계엄사 보통군법회의, 야당지도자 김대중에 내란음모 혐의로 사형선고.
- 9월 22일 - 이라크가 이란을 침공하여 이라크·이란 전쟁이 시작되었다. 국경지대 유전 장악을 둘러싼 전쟁이었다.
- 9월 29일 - 대한민국 정부, 제5공화국 헌법개정안(제8차개헌안) 공고
- 10월 10일
- 조선로동당 제6차당대회
- 알제리에 대지진이 발생하여 2만여 명 사망하다.
- 10월 17일 - 충북선 복선화로 인해 미호역, 정하역, 정봉역폐역. 청주역~서청주역구간은 서청주선이라는 지선으로 남음
- 10월 14일 - 국제연합 특별총회, 아프가니스탄 주둔 소련군 철수결의안 가결
- 10월 27일 - 10·27 법난
- 11월 6일 - 조치훈, 일본 바둑 명인위 획득
- 11월 14일 - 정부, 언론통폐합 조치 발표.
- 11월 30일 - 정부의 언론통폐합 조치에 따라 방송 통합.
- 12월 8일 - 미국 뉴욕 시에서 마크 채프먼이 존 레논을 암살하였다.
[편집] 문화
- 1월 30일 - 부산대교 개통.
- 2월 - 63빌딩 착공.
- 7월 - 이용태박사, 삼보 컴퓨터 설립.
- 7월 7일 - 미스 유니버스 서울 대회 개최.
- 8월 2일 - 컬러TV 대한민국 내 시판 개시.
- 8월 11일 - 조오련이 대한해협을 수영으로 건너는 데 성공하다.
- 9월 4일 - 대한민국 보건사회부, 전국의 호화묘지 모두 정리키로 결정 발표.
- 9월 5일 - 대한민국 문화교육부, 대학교육시안으로 졸업정원제 채택.
- 9월 11일 - 대한민국,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 창립.
- 9월 16일 - 금성사(현 LG전자), 대한민국 최초로 태국과 TV생산기술 수출계약 체결.
- 9월 19일 - 대한민국과 프랑스, 어업협정 체결.
- 10월 8일 - 번영로 (부산) 도시고속도로가 문현램프~구서분기점 15.7km 개통하다.
- 10월 12일 - 대한민국 제주도의 하멜 기념비 제막.
- 10월 15일 - 경주시 ~ 포항시를 연결하는 국도의 4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다.
- 10월 31일 - 서울지하철 2호선 신설동 ~종합운동장 구간을 개통하다.
- 11월 12일 이홍우가 작가한 《나대로 선생》이 동아일보에 연재 시작하다.
- 12월 19일 - 연합통신 창립.
- 12월 30일 - 한국방송광고공사 창립.
[편집] 탄생
- 1월 3일 - 대한민국의 개그맨, 리포터 윤형빈.
- 1월 21일 - 일본의 가수, 성우 미즈키 나나.
- 1월 25일 -
- 1월 28일 - 일본의 축구 선수 엔도 야스히토.
- 2월 7일 - 대한민국의 가수, 배우 이정현.
- 2월 11일 -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마크 브레시아노.
- 2월 12일 - 미국의 배우 크리스티나 리치.
- 2월 16일 - 대한민국의 가수 장윤정.
- 2월 20일 - 일본의 성우, 나레이터 나카무라 유이치.
- 2월 21일 - 대한민국의 가수, 배우 이희진.
- 2월 28일 - 대한민국의 가수 바다.
- 3월 4일 - 대한민국의 배우 정다빈.
- 3월 17일 - 대한민국의 가수 최자 (다이나믹 듀오).
- 3월 18일 - 대한민국의 개그맨 송준근.
- 3월 20일 - 대한민국의 가수 옥주현.
- 3월 21일 -
- 3월 29일 -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희.
- 4월 1일 - 일본의 배우 다케우치 유코.
- 4월 4일 - 대한민국의 배우 공효진.
- 4월 9일 - 대한민국의 배우 이요원.
- 4월 11일 - 일본의 축구 선수 다마다 게이지.
- 4월 13일 - 대한민국의 배우 고호경.
- 4월 22일 - 프랑스의 축구 선수 니콜라스 듀셰즈.
- 5월 14일 - 체코의 축구 선수 즈데네크 그리게라.
- 5월 22일 -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경호.
- 5월 24일 - 홍콩의 배우 장바이즈.
- 5월 30일 - 영국의 축구 선수 스티븐 제라드.
- 6월 9일 - 일본의 가수 사에구사 유카.
- 6월 13일 - 프랑스의 축구 선수 플로랑 말루다.
- 6월 18일 -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종욱.
- 6월 27일 - 대한민국의 개그맨 노우진.
- 7월 4일 - 일본의 성우 아라이 사토미.
- 7월 5일 - 프랑스의 여자 배우에바 그레인.
- 7월 8일 - 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로비 킨.
- 7월 15일 -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봉중근.
- 7월 18일 - 일본의 가수, 배우 히로스에 료코.
- 7월 22일 -
- 7월 25일 -
- 7월 28일 - 대한민국의 가수 이민우 (가수).
- 7월 31일 - 일본의 가수 아이우치 리나.
- 8월 5일 - 영국의 축구 선수 웨인 브리지.
- 8월 19일 -
- 8월 30일 -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, 배우 김연주.
- 8월 31일 - 대한민국 배우 이세은
- 9월 3일 - 대한민국의 개그맨 정경미.
- 9월 4일 -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임요환.
- 9월 6일 -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조지프 요보.
- 9월 7일 -
- 9월 13일 -
- 9월 16일 - 대한민국의 배우 허영란.
- 9월 17일 - 대한민국의 마술사 박기훈.
- 10월 4일 - 체코의 축구 선수 토마시 로시츠키.
- 10월 6일 -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신봉선.
- 10월 14일 - 대한민국의 배우, 전 레이싱모델 오윤아.
- 10월 18일 - 대한민국의 개그맨 황현희.
- 11월 5일 - 독일의 축구 선수 크리스토프 메첼더.
- 11월 16일 -
- 대한민국의 배우 이은주.
- 대한민국의 개그맨 김준현.
- 11월 18일 - 일본의 가수, 배우 오카다 준이치 (V6).
- 11월 25일 -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축구 선수 에런 모코에나.
- 12월 7일 - 영국의 축구 선수 존 테리.
- 12월 10일 -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장영주.
- 12월 13일 -
- 12월 18일 - 미국의 가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.
- 12월 19일 - 대한민국의 가수 버벌 진트.
- 12월 20일 - 영국의 축구 선수 애슐리 콜.
- 12월 24일 - 가나의 축구 선수 스티븐 아피아.
- 12월 25일 - 대한민국의 가수 가희 (애프터스쿨).
- 12월 26일 -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 아뤼나 댕단.
[편집] 사망
- 3월 1일 - 영국의 전 축구 선수 딕시 딘.
- 3월 31일 - 미국의 육상 선수 제시 오언스.
- 4월 15일 - 프랑스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.
- 4월 21일 - 러시아의 생물학자, 생화학자 알렉산드르 오파린.
- 4월 29일 - 미국의 영화감독 앨프리드 히치콕.
- 5월 24일 -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장 김재규.
- 6월 12일 - 일본의 정치가, 총리 대신 오히라 마사요시.
- 7월 27일 - 이란의 국왕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.
- 9월 15일 - 러시아의 과학자 미하일 라프렌티예프.
- 9월 16일 - 스위스의 교육학자 장 피아제.
- 10월 18일 - 대한민국의 군인 송요찬.
- 10월 31일 - 체코의 소설가 얀 베리흐.
- 12월 8일 - 영국의 대중음악가 (비틀즈의 멤버) 존 레논.
- 12월 18일 - 소련의 정치가, 총리 알렉세이 코시긴.
- 12월 24일 - 독일의 군인 카를 되니츠.
[편집] 노벨상
- 경제학상:로런스 클라인
- 문학상:체스와프 미워시
- 물리학상:제임스 왓슨 크로닌, 발 록스던 피치
- 생리학 및 의학상:바루 베나세라프, 장 도세, 조지 데이비스 스넬
- 평화상: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
- 화학상:폴 버그, 월터 길버트, 프레더릭 생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