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50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
해 1947년 1948년 1949년 - 1950년 - 1951년 1952년 1953년 |
연대 1930년대 1940년대 - 1950년대 - 1960년대 1970년대 |
세기 18세기 19세기 - 20세기 - 21세기 22세기 |
![](http://library.vu.edu.pk/cgi-bin/nph-proxy.cgi/000100A/http/web.archive.org/web/20120527193503im_/http:/=2fupload.wikimedia.org/wikipedia/commons/thumb/6/6c/SeoulWarDamage1.jpg/200px-SeoulWarDamage1.jpg)
한국 전쟁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.
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.
목차 |
[편집] 사건
- 1월 12일 - 美 국무장관 애치슨, 애치슨라인 발표.
- 2월 14일 -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.
- 6월 10일 - 토요타 자동차 생산인원 감축 저지를 위한 토요타 자동차 노동조합 총파업.
- 6월 25일
- 한국전쟁: 북조선 공산군, 38線 전역에서 남침 개시. 6·25 전쟁 발발.
- 1950년 FIFA 월드컵: 브라질에서 개최.
- 공교롭게도 이 두 사건은 똑같은 시간(대한민국 시간으로 새벽 4시 정각.)에 동시에 발생했다.
- 6월 28일 - 한국전쟁: 서울이 인민군에 함락.
- 7월 20일 - 한국전쟁: 대한민국 정부, 대구에 임시수도를 둠.
- 8월 3일 - 한국전쟁: 유엔군, 북조선 남진을 저지할 목적으로 왜관 철교 폭파
- 8월 18일 - 한국 전쟁: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를 대구에서 부산으로 옮기다.
- 9월 6일 - 대한민국 국군, 여군 창설.
- 9월 15일 - 한국 전쟁: 06시를 기해 인천 월미도로 인천 상륙 작전을 개시하다.
- 9월 16일 - 한국 전쟁: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, 낙동강 전선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에 총반격 시작.
- 9월 28일 - 한국전쟁: 서울 탈환.
- 9월 28일 - 한국전쟁: 국군과 유엔군, 서울 탈환. 이날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군에 38선 이북 진격명령.
- 9월 28일 - 인도네시아 국제 연합 가입.
- 10월 1일 - 한국전쟁: 국군 3 사단 26연대, 강원도 양양군서 한국전쟁 발발후 최초로 38선 넘어 북진.
- 10월 7일 - 국제연합 총회, 유엔군의 38선 이북 진격과 한국통일부흥위원단(UNCURK) 설치 결의.
- 10월 9일 - 한국전쟁: 북조선의 주요 기관과 단체 등을 평양에서 철수하면서 임시 수도를 강계로 정함.
- 10월 11일 - 중국군, 티베트 침공.
- 10월 12일 - 한국전쟁: 북조선의 김일성의 평양철수.
- 10월 19일 - 한국전쟁: 국군이 평양을 탈환.
- 10월 29일 - 구스타프 6세,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.
- 11월 17일 – 텐진 갸초, 15세의 나이로 14대 달라이 라마가 됨.
- 11월 6일 - 한국전쟁: 맥아더 , 중국 월경(越境) 성명.
- 11월 26일 -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회(UNCURK) 일행 12명, 서울 도착.
- 12월 4일 - 한국전쟁: 국군이 맨 마지막으로 평양을 철수하다.
- 12월 14일 - 한국전쟁 : 흥남 철수작전 개시.(~ 24일까지)
[편집] 문화
- 5월 1일 - 독일, 생필품 카드(Lebensmittelkarten) 폐지.
- 5월 6일 - 프랑스의 로베르 쉬망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계획을 발표하다.
- 8월 28일 - 대한민국 한국은행, 1차 화폐개혁(조선은행권 원:한국은행권 원 1:1) 단행.
- 10월 2일 - 찰스 슐츠가 찰리 브라운과 스누피로 유명한 피너츠 연재를 시작하다.
- 10월 4일 - 주한 미군방송(AFKN) 라디오, 서울서 첫 전파 발사.
- 10월 7일 - 테레사 수녀, 사랑의 선교회 설립.
- 11월 24일 - "인권 및 기본 자유권 협정"이 유렵 평의회에서 채택.
[편집] 탄생
- 1월 1일 - 대한민국의 정치인 허경영.
- 3월 12일 -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, 현 축구 감독 하비에르 클레멘테.
- 3월 21일 - 대한민국의 가수 조용필.
- 4월 20일 -
- 5월 10일 -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, 현 축구 감독 안드제이 샤르마흐.
- 5월 13일 - 미국의 가수 스티비 원더.
- 5월 20일 - 중국의 반체제 인사, 인권 운동가 웨이징성.
- 6월 10일 -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현.
- 7월 3일 -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동채.
- 7월 21일 -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우발도 피욜.
- 7월 28일 - 대한민국의 방송인 임성훈.
- 8월 11일 - 미국의 프로그래머, 해커 스티브 워즈니악.
- 8월 14일 - 아일랜드의 기업인 더멋 데즈먼드.
- 8월 19일 - 파키스탄의 정치인 무하마드 미안 숨로.
- 10월 9일 - 미국의 사회운동가 겸 교사 조디 윌리엄스.
- 10월 21일 - 미국의 물리학자 겸 우주비행사 로널드 맥네어.
- 11월 16일 -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엑토르 발레이.
- 12월 23일 -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, 현 축구 감독 비센테 델 보스케.
- 12월 27일 -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 장명부.
- 영국의 기업인 스튜어트 밀른.
[편집] 사망
- 1월 21일- 영국의 소설가 조지 오웰.
- 4월 8일 - 러시아의 무용수 바슬라프 니진스키.
- 6월 11일 - 한국의 소설가 채만식.
- 7월 - 김정태, 한국의 독립운동가.
- 7월 22일 - 캐나다의 총리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.
- 7월 27일 - 대한민국의 군인(초대 육군참모총장) 채병덕.
- 9월 - 김병조, 한국의 독립운동가.
- 9월 29일 - 대한민국의 시인 김영랑.
- 10월 25일 - 한국의 소설가 이광수.
- 12월 10일 - 김규식, 한국의 독립운동가.
- 대한민국의 기업가 박승직.
- 조선 총독을 지낸 일본의 군인, 정치인 고이소 구니아키.